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UEFA 슈퍼컵

덤프버전 :

UEFA 슈퍼컵
파일:UEFA-Super-Cup.jpg
정식 명칭UEFA 슈퍼컵
UEFA Super Cup
창설1972년[1] - 유러피언 슈퍼컵
1995년 - UEFA 슈퍼컵
진출 자격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
UEFA 유로파 리그 우승 구단
최근 우승 구단파일:UEFA ENG.png 맨체스터 시티 FC(2023)
최다 우승 구단파일:UEFA ITA.png AC 밀란
파일:UEFA ESP.png FC 바르셀로나
파일:UEFA ESP.png 레알 마드리드 CF(5회)
최다 우승 국가파일:UEFA ESP.png 스페인(16회)
최다 우승 선수파일:UEFA GER.png 토니 크로스(5회)
최다 우승 감독파일:UEFA ITA.png 카를로 안첼로티
파일:UEFA ESP.png 펩 과르디올라(4회)
최다 출장자파일:UEFA NED.png 아리에 한
파일:UEFA ITA.png 로베르토 도나도니
파일:UEFA ITA.png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8경기)
대한민국 중계파일:SPOTV 로고.svg[[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UEFA Super Cup

1. 개요
2. 역사
2.1. 상금
2.2. 역대 대회
2.3. 공인구
3. 우승 횟수
3.1. 구단
3.2. 국가
4. 여담
5. 공식 스폰서[2]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23 UEFA 슈퍼컵 인트로

UEFA가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과 UEFA 유로파 리그 우승 구단 간의 단판제 컵 대회.

본래 각국 리그 우승 클럽과 컵 대회 우승 클럽이 맞붙는 슈퍼컵의 유럽 대항전 버전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클럽과 UEFA 컵위너스컵 우승 클럽이 맞붙었다. 하지만 1999-2000 시즌에 컵위너스컵이 챔피언스 리그의 하위 대회인 UEFA컵(현 유로파 리그)에 흡수되고 그 결과 2000년도부터 유로파 리그 우승 클럽이 대신 참가하게 되면서 유럽 최강자를 가린다는 슈퍼컵의 명분은 퇴색된 면이 있다.[3] 그래서 권위가 아주 높은 대회는 아니며 시즌이 시작되기 전이나 막 시작한 시점인 8월에 열리기에 여름 이적 시장에서 새로 영입한 선수들이나 후보 선수들이 점검 차원에서 참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엄연히 UEFA 주관 대회이고 단판제에서 잘만 하면 어엿한 트로피와 명예를 얻는다. 상금도 파격적이다. 2012년 자료에 따르면 우승팀이 3M 유로, 준우승팀이 2.2M 유로를 받았는데, 우승 상금과 준우승 상금의 차이가 적다는 문제가 있긴 해도 2012년 당시 3M 유로가 안되었던 유로파 리그 우승 상금에 견줄 만한 거액이다.

1997년까지는 몇몇 대회를 제외하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러졌다가 1998년부터는 단판제로 바뀌었다. 홈 앤드 어웨이로 치러지던 시절에는 컵위너스컵 우승팀이 1차전에서 홈구장을,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이 2차전에서 홈구장을 썼다. 단판제로 바뀐 1998년부터 2012년까지는 AS 모나코의 홈구장 스타드 루이 되 경기장에서 경기가 치러졌다가 2013년부터는 다른 유럽 대항전 결승처럼 중립 경기장이 선정된다.

현재 사용 중인 공식 인트로 음악은 UEFA 유로 2008의 인트로 음악을 살짝 변형한 것이다.


2. 역사[편집]


파일:UEFA 슈퍼컵 로고 (2000-2005).svg파일:UEFA 슈퍼컵 로고 (2006-2012).svg파일:UEFA 슈퍼컵 로고.svg
2000~2005
2006~2012
2013~

파일:UEFA 슈퍼컵 트로피.svg
트로피


2.1. 상금[편집]


UEFA 슈퍼컵 상금
우승
(Champion)
€5,000,000
준우승
(Runner-up)
€3,800,000


2.2. 역대 대회[편집]


  • 황색 바탕이 우승 구단.

연도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결과UEFA 컵위너스컵 우승경기장
1972[4]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3 - 1
3 - 2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레인저스 FC아이브록스 스타디움(글래스고, 스코틀랜드)
더 메이르 스타디온(암스테르담, 네덜란드)
1973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0 - 1
6 -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스타디오 산 시로(밀라노, 이탈리아)
더 메이르 스타디온(암스테르담, 네덜란드)
1974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미개최파일:독일 국기.svg 1. FC 마그데부르크-
1975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0 - 1
0 - 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뮌헨, 서독)
중앙 경기장(키이우, 소련)
1976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2 - 1
1 - 4
파일:벨기에 국기.svg RSC 안데를레흐트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뮌헨, 서독)
스타드 에밀 베르세(브뤼셀, 벨기에)
1977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1 - 1
6 - 0
파일:독일 국기.svg 함부르크 SV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함부르크, 서독)
안필드(리버풀, 잉글랜드)
1978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1 - 3
2 - 1
파일:벨기에 국기.svg RSC 안데를레흐트스타드 에밀 베르세(브뤼셀, 벨기에)
안필드(리버풀, 잉글랜드)
1979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노팅엄 포레스트 FC1 - 0
1 - 1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시티 그라운드(노팅엄, 잉글랜드)
캄 노우(바르셀로나, 스페인)
1980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노팅엄 포레스트 FC2 - 1
0 - 1
파일:스페인 국기.svg 발렌시아 CF시티 그라운드(노팅엄, 잉글랜드)
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발렌시아, 스페인)
1981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미개최파일:조지아 국기.svg FC 디나모 트빌리시-
1982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애스턴 빌라 FC0 - 1
3 - 0,(연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캄 노우(바르셀로나, 스페인)
빌라 파크(버밍엄, 잉글랜드)
1983파일:독일 국기.svg 함부르크 SV0 - 0
0 - 2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애버딘 FC폴크스파르크 슈타디온(함부르크, 서독)
피토드리 스타디움(애버딘, 스코틀랜드)
1984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0 -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스타디오 코무날레(토리노, 이탈리아)
1985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미개최[5]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에버턴 FC-
1986파일:루마니아 국기.svg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1 - 0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1987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1 - 0
1 -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더 메이르 스타디온(암스테르담, 네덜란드)
이스타디우 다스 안타스(포르투, 포르투갈)
1988파일:네덜란드 국기.svg PSV 에인트호번0 - 3
1 - 0
파일:벨기에 국기.svg KV 메헬렌아르호스타디온 아흐터르 더 카제르너(메헬렌, 벨기에)
PSV 스타디온(에인트호번, 네덜란드)
198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1 - 1
1 - 0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캄 노우(바르셀로나, 스페인)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밀라노, 이탈리아)
199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1 - 1
2 -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C 삼프도리아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제노바, 이탈리아)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밀라노, 이탈리아)
1991파일:세르비아 공국 국기.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0 - 1[6]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올드 트래포드(맨체스터, 잉글랜드)
1992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1 - 1
2 - 1
파일:독일 국기.svg SV 베르더 브레멘베저슈타디온(브레멘, 독일)
캄 노우(바르셀로나, 스페인)
199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1 - 0
0 - 2,(연장),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르마 FC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파르마, 이탈리아)
산 시로(밀라노, 이탈리아)
1994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0 - 0
2 -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널 FC하이버리(런던, 잉글랜드)
산 시로(밀라노, 이탈리아)
1995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1 - 1
4 -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사라고사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사라고사, 스페인)
네덜란드 올림픽 스타디움(암스테르담, 네덜란드)
1996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6 - 1
3 - 1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파르크 데 프랭스(파리, 프랑스)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팔레르모, 이탈리아)
1997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0 - 2
1 - 1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캄 노우(바르셀로나, 스페인)
베스트팔렌슈타디온(도르트문트, 독일)
1998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0 - 1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1999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0 -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연도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결과UEFA 유로파 리그 우승팀경기장
2000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1 - 2,(연장),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갈라타사라이 SK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01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2 - 3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02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3 - 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0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1 - 0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04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1 - 2파일:스페인 국기.svg 발렌시아 CF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05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3 - 1,(연장),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06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0 - 3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07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3 - 1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08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1 - 2파일:러시아 국기.svg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09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1 - 0,(연장),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1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0 - 2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11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2 - 0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12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1 - 4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스타드 루이 2세(퐁뷔에유, 모나코)
2013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2 - 2,(연장),
(PK 5 -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에덴 아레나(프라하, 체코)
2014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2 - 0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카디프 시티 스타디움(카디프, 웨일스)
2015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5 - 4,(연장),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보리스 파이차제 디나모 아레나(트빌리시, 조지아)
2016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3 - 2,(연장),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레르켄달 스타디온(트론헤임, 노르웨이)
2017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2 - 1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필리포스 2세 아레나(스코페, 마케도니아)
2018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2 - 4,(연장),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릴레퀼라 스타디움(탈린, 에스토니아)
2019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2 - 2,(연장),
(PK 5 -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베식타슈 파크(이스탄불, 터키)
2020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2 - 1,(연장),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푸슈카시 아레나(부다페스트, 헝가리)
2021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1 - 1,(연장),
(PK 6 - 5)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야레알 CF윈저 파크(벨파스트, 북아일랜드)
2022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2 - 0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헬싱키, 핀란드)
2023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1 - 1
(PSO 5 - 4)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요르요스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피레아스, 그리스)[7]
2024파일:국기.svg파일:국기.svg스타디온 나로도비(바르샤바, 폴란드)


2.3. 공인구[편집]


UEFA 슈퍼컵 역대 공인구
스폰서파일:아디다스 로고.svg
(~2006년)
(2009년~)
파일:나이키 로고.svg
(2007년, 2008년)
형태사용 연도준우승우승
2005년 이전까지는 전년도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공인구를 슈퍼컵에 사용하였음.
파일:2006_UEFA_SUPER_CUP_BALL.png2006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파일:2007_UEFA_SUPER_CUP_BALL.png2007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파일:AC 밀란 로고.svg
파일:2008_UEFA_SUPER_CUP_BALL.png2008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 (1998-2013).svg
파일:2009_UEFA_SUPER_CUP_BALL.png2009
파일:FC 샤흐타르 도네츠크 로고.svg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파일:2010_UEFA_SUPER_CUP_BALL.png2010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엠블럼(2014~2021).sv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70~2016).svg
파일:2011_UEFA_SUPER_CUP_BALL.png2011
파일:FC 포르투 로고.svg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파일:2012_UEFA_SUPER_CUP_BALL.png2012
파일:첼시 FC 로고.sv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70~2016).svg
파일:2013_UEFA_SUPER_CUP_BALL.png2013
파일:첼시 FC 로고.svg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파일:2014_UEFA_SUPER_CUP_BALL.png2014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2015_UEFA_SUPER_CUP_BALL.png2015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파일:2016_UEFA_SUPER_CUP_BALL.png2016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2017_UEFA_SUPER_CUP_BALL.png2017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2018_SUPER_CUP_BALL.png2018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2017~2024).svg
파일:2019_SUPER_CUP_BALL.png2019
파일:첼시 FC 로고.svg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파일:2020_SUPER_CUP_BALL_.png2020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파일:2021_UEFA_SUPER_CUP_BALL.png2021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파일:첼시 FC 로고.svg
파일:2022_UEFA_SUPER_CUP_BALL.png2022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2023_UEFA_SUPER_CUP_BALL.png2023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3. 우승 횟수[편집]



3.1. 구단[편집]


||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541992, 1997, 2009, 2011, 20151979, 1982, 1989, 2006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532002, 2014, 2016, 2017, 20221998, 2000, 20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521989, 1990, 1994, 2003, 20071973, 199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421977, 2001, 2005, 20191978, 1984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302010, 2012, 201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231998, 20212012, 2013, 2019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232013, 20201975, 1976, 200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211973, 19951987
파일:벨기에 국기.svg RSC 안데를레흐트201976, 1978-
파일:스페인 국기.svg 발렌시아 CF201980, 200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201984, 1996-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1620062007, 2014, 2015, 2016, 2020, 2023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1319872003, 2004, 201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1319911999, 2008, 2017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111975198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노팅엄 포레스트 FC111979198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톤 빌라 FC101982-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애버딘 FC101983-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101986-
파일:벨기에 국기.svg KV 메헬렌10198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르마 FC10199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101999-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갈라타사라이 SK102000-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10200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102023-
파일:독일 국기.svg 함부르크 SV02-1977,1983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PSV 에인트호번01-198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C 삼프도리아01-1990
파일:세르비아 공국 국기.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01-1991
파일:독일 국기.svg SV 베르더 브레멘01-199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01-1994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사라고사01-1995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01-1996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01-199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01-2002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01-2005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01-200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01-2010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야레알 CF01-2021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01-2022


3.2. 국가[편집]




4. 여담[편집]


  • 1972년에 대회가 열려 아약스가 우승했지만 이 대회는 비공식으로 열린 경기였기 때문에 UEFA 공식 기록으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 1974년 대회는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인 바이에른 뮌헨과 컵위너스컵 우승팀인 1. FC 마그데부르크(동독)끼리 맞붙게 되었으나 동독과 서독 간의 정치적 긴장 상태로 인해 열리지 않았다.
  • 1981년 대회는 리버풀이 리그 경기 일정을 이유로 경기를 포기해서 열리지 않았다.
  • 1984년 경기에서도 리버풀은 리그 경기 일정으로 이탈리아 원정 1경기만 가졌다.
  • 1985년 경기에선 컵위너스컵 우승팀인 에버턴이 헤이젤 참사로 인한 잉글랜드 팀 출전 금지 처분으로 참가할 수 없게 되어 경기가 열리지 않았다.
  • 1991년 경기는 맨유유고슬라비아(현 세르비아)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챔피언스 리그 리그 우승)가 맞붙게 되었으나 유고슬라비아 내전 상황 및 정치적 상황이 얽히면서 잉글랜드 맨체스터에서 1경기만 열렸다.
  • 1993년 대회에선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승부 조작에 얽힌 게 드러나 출전이 금지되어(우승 기록은 그대로 인정) 준우승팀 AC 밀란이 대신 참가했다.
  • 2003년부터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유로파 리그(舊 UEFA컵) 우승팀이 번갈아가면서 우승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 징크스는 2014 UEFA 슈퍼컵에서 유로파 리그 우승팀 세비야가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레알 마드리드에게 패하면서 깨졌다.
  • 2008년 대회에선 양 팀 교체 선수 명단에 대한민국 선수가 1명씩 있었다.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맨유의 박지성은 교체 출전, UEFA컵 우승팀 제니트김동진은 아쉽게 출전하지 못했다. 제니트가 우승하여 박지성은 아쉽게 우승컵을 들어올리지는 못했다. 이 당시 제니트의 감독은 2년 전 2006 독일 월드컵에서 한국 대표팀 감독을 맡았던 딕 아드보카트. 한편 이 경기에서 그 유명한 폴 스콜스배구 토스가 나왔다.
  • 2015년도 슈퍼컵 중계 방송에는 귀뚜라미 소리가 중간마다 녹음되어 있었다.
  • 2021년도 슈퍼컵 승부차기에서 뒤에 있던 관계자가 위치를 모두 맞혀 화제가 되었다.
  • 2023년도 슈퍼컵부터 연장전이 폐지되었고, FA 커뮤니티 실드와 마찬가지로 90분 내에 승부를 가리지 못할 경우 바로 승부차기로 승부를 결정하도록 룰이 개정되었다.[8]


5. 공식 스폰서[9][편집]


||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17:09:25에 나무위키 UEFA 슈퍼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73년부터 UEFA 공인.[2] UEFA 챔피언스 리그와 공식 스폰서를 공유한다.[3] FIFA 클럽 월드컵이 실질적으로 유럽 클럽팀이 매번 우승하는데도 꾸준히 개최하는 이유는 별개의 대륙에서 열리는 독립적인 대회의 우승팀들이 모여 클럽 축구의 세계 최강팀을 가린다는 명분이 있기 때문이다.[4] UEFA는 1973년부터 유러피언 슈퍼컵을 공인했으므로, 아약스의 1972년 우승은 비공식 우승으로 간주된다.[5] 헤이젤 참사로 인해 잉글랜드 클럽들이 향후 5년간 UEFA 주관 대회 출전 금지 처분을 받았다.[6] 원래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러질 예정이였으나,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여파로 인해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7] 원래 장소는 러시아 카잔의 아크 바르스 아레나였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서 변경되었다.[8] 단, 코인토스에서 이긴 팀이 승부차기를 진행하는 진영을 선택할 수 없고 선축과 후축만 선택할 수 있다. 진영은 주심이 임의적으로 정하는 형태.[9] UEFA 챔피언스 리그와 공식 스폰서를 공유한다.